하얀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얀 전쟁은 1979년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후유증에 시달리는 한기주와 그의 부하였던 변진수의 만남을 통해 전쟁의 비극을 그린 영화이다. 안성기, 이경영, 심혜진 등이 출연했으며, 베트남 전쟁의 기억을 마주하는 한기주의 고뇌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정지영 감독 작품으로 1992년 도쿄 국제 영화제 그랑프리 및 감독상, 대종상, 청룡영화상, 백상예술대상 등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지영 감독 영화 - 남영동1985
남영동1985는 1985년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벌어진 고문을 다룬 영화로, 김종태가 고문을 받는 과정을 중심으로 이두한 등 고문 기술자들이 등장하며, 고문 장면 묘사, 흥행 부진, 이근안의 발언 등으로 논란이 일었다. - 정지영 감독 영화 -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
강우석, 김유진 외 5명의 감독이 연출하고 김유민 각본, 변원미와 봉준호 각색으로 제작된 영화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는 한재석 주연, 다양한 조연 및 단역 출연, 각 에피소드별 다른 촬영 감독, 변성룡 음악, 조융삼 미술, 그리고 정해연과 윤진호의 노래가 삽입되었다. - 전쟁 영화 - 신기전 (영화)
2008년 김유진 감독의 영화 《신기전》은 세종 시대, 명나라의 압박에 맞서 신기전을 개발하고 지키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하고 370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하고 대종상 최우수 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 전쟁 영화 - 랜드 앤 프리덤
1995년 켄 로치 감독의 영화 《랜드 앤 프리덤》은 1936년 스페인 내전에 참여한 영국인 데이비드 카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현실과 좌익 내부의 갈등, 공동체 정신과 연대의 중요성을 다룬다. - 1992년 영화 - 붉은 사슴비
붉은 사슴비는 FBI 요원이 사우스다코타 원주민 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을 수사하며 원주민 권리 운동과 관련된 음모에 휘말리는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이다. - 1992년 영화 - 스쿨 타이
스쿨 타이(School Ties)는 1992년에 개봉한 미국 영화로, 1955년 미식축구 장학생으로 명문 사립학교에 입학한 유대인 데이비드 그린이 차별과 갈등을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 하얀 전쟁 - [영화]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원작 | 안정효의 《하얀 전쟁》 |
| 감독 | 정지영 |
| 제작 | 국종남 |
| 각본 | 공수영, 정지영, 조영철, 심승보 |
| 촬영 | 유용길 |
| 편집 | 박순덕 |
| 음악 | 신병하 |
| 주연 | 안성기, 이경영, 심혜진 |
| 개봉일 | 1992년 7월 4일 |
| 장르 | 드라마 |
| 상영 시간 | 124분 |
| 제작사 | 대일필름 |
| 배급사 | 대일필름, Vanguard Cinema (북미) |
| 언어 | 한국어 |
| 영화 등급 | 청소년 관람 불가 |
| 관련 웹사이트 | 다음 영화 |
| 로마자 표기 | Hayan jeonjaeng |
| 한글 | 하얀 전쟁 |
| 한자 | 하얀 전쟁 |
| 제작 관련 | |
| 제작비 | 정보 없음 |
| 흥행 | |
| 흥행 수입 | 정보 없음 |
| 기타 정보 | |
| 관련 기사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1102000289110001&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10-20&officeId=00028&pageNo=10&printNo=1060&publishType=00010"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1100501.19920508193234101"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2071000289109001&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2-07-10&officeId=00028&pageNo=9&printNo=1283&publishType=00010"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407290023911600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4-07-29&officeId=00023&pageNo=16&printNo=22758&publishType=00010"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071600099131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7-07-16&officeId=00009&pageNo=31&printNo=9807&publishType=00010"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091200239137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7-09-12&officeId=00023&pageNo=37&printNo=23824&publishType=00010" |
2. 줄거리
1979년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던 백마부대 출신 한기주 전 하사는 종군 체험기로 인기 작가가 되었지만, 전쟁의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러던 중, 과거 자신의 부하였던 변진수 일등병이 한기주에게 권총을 건네주고 사라진다.[1] 한기주는 자신보다 훨씬 심각한 전쟁 트라우마를 겪는 변진수를 만나 자극을 받고, 차기작을 위해 자신의 부대가 베트남에서 겪었던 일들을 추적하지만, 더욱 심한 고뇌가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3]
한기주는 고향 신문에 베트남 전쟁에 관한 기사를 쓰면서 베트남에서의 기억과 마주하게 된다. 이 기사들은 한기주의 삶에 불쑥 나타나는 또 다른 참전 용사 변진수와 연결된다.[2]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3. 2. 조연
4. 제작진
| 분야 | 이름 |
|---|---|
| 감독 | 정지영 |
| 기획 | 김학훈, 안동규 |
| 제작 | 국정남 |
| 각본 | 공수영, 조우용철, 심승보, 정지영 |
| 음악 | 신병하 |
| 촬영 감독 | 유영길 |
| 미술 | 조윤삼 |
| 동시 녹음 | 이영길, 김원영 |
| 조명 감독 | 김동호 |
| 편집 | 박순덕 |
| 조감독 | 심승보, 안병기 |
| 제작·배급 | 대일필름 |
5. 수상 내역
| 연도 | 상 |
|---|---|
| 1992년 | 제5회 도쿄 국제 영화제 그랑프리, 감독상[1] |
| 1993년 | 제31회 대종상 - 남우조연상 (이경영), 심사위원특별상, 각본상 (공수영, 조우용철, 심승보, 정지영) |
| 1993년 | 제13회 청룡영화상 - 남우조연상 (독고영재), 촬영상 (유영길) |
| 1993년 | 제2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 최우수 연기상 (남) (이경영) |
| 1993년 | 제3회 춘사 대상 영화제 - 감독상 (정지영), 우수 연기상 (이경영), 음악상 (신병하) |
| 1993년 | 제38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 최우수 남우주연상 (안성기) |
6. 영화와 관련된 기타 정보
본작과 같은 베트남 전쟁을 소재로 한 한국 영화로 『화이트 배지 2: 전장의 푸른 늑대들(1991년), 『화이트 배지 3: 전랑들의 묘표(1991년)라는 제목의 영화가 비디오로 출시되었지만, 본작과는 무관한 작품이다. 또한 『화이트 배지 파이널: 사상 최대의 작전』(1974년), 『신 화이트 배지: 지옥으로의 전장』(1976년)이라는 제목의 한국 영화도 비디오로 출시되었지만, 한국 전쟁을 소재로 한 영화로 역시 본작과는 무관하다. DVD화되면서 각각 『서울 탈환 대작전: 대반격』, 『사상 최대의 전장: 낙동강 대결전』으로 제목이 변경되었다.
참조
[1]
영화
映画「ホワイト・バッジ」
https://eiga.com/mov[...]
[2]
뉴스
"베트남전쟁 역사성 본격 점검"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2024-01-06
[3]
뉴스
“나를 몰라?”툭하면 주먹질
https://www.bigkinds[...]
문화일보
2024-01-06
[4]
뉴스
영화'하얀전쟁' 표현의 자유 공방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2024-01-06
[5]
뉴스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 추억 가득한 영화광이야기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4-01-06
[6]
뉴스
인터뷰 두 영화 동시주연맡은 강수연 "성격다른 두 배역 독특한 매력"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2024-01-06
[7]
뉴스
블랙잭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4-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